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들어가면 "Open Graph 설명" 이걸 해야 하나 말아야 하나 정말 잘 몰라서 스트레스받으신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일단 결론적으로 이야기하자면 하지 말아야 합니다. 그 왜 하지 말아야 하는지 왜 건들면 안 되는지에 대한 이유입니다.
위의 사진을 보시면 아시겠습니다만 Open GraphX라고 빨갛게 되어있는 게 보이실 겁니다. 저게 굉장히 신경 쓰이셨을 텐데요,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이걸 SNS로 공유할 때 사진이나 정보들이 내가 입력한 정보로만 공유됩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이 보았을 때는 항상 같은 글만 올리는 것 같은 착각을 불러일으킬 수가 있습니다. 사실 눌러보면 아니지만, 누르기 전에 글은 항상 제목이 같아 보이는 최악의 상황이 될 수가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 문제의 해결 방식은 작성한 글들의 페이지마다 Open Graph태그를 입력하여 스킨의 치환자 부분에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글의 주제에 알맞도록 자동으로 변형돼서 나오기는 합니다.
근데 이게 중요한 게 아닙니다. Open Graph를 적용하면 바로 그때부터 유입률이 반에 반토막이 날 수가 있습니다. 문제를 가만히 생각해보니 티스토리는 자체적으로 오픈그래프 정보를 페이지마다 제공하고 있더군요 -_-;;;
그럼 DAUM이나 구글에서는 이렇게 생각할 것입니다. 같은 정보를 두 번이나 써놨으니 이건 완전 복사 붙여 넣기로 스팸 블로그로 인식하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물론 이게 그런지 안 그런지는 아직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만, 어쨌든 SEO와는 친하지 않을 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티스토리는 이미 티스토리 자체적으로 Open Graph를 제공하고 있답니다. 그렇기 때문에 따로 네이버 웹마스터에서 설정되도록 머리 복잡하게 Html 세팅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에 빨간색으로 체크되어있는 게 신경 쓰이셔도 그냥 무시하는 게 답입니다. 괜히 건드렸다가 예전에 스킨 바꾸었던 때랑, 티스토리 숫자에서 문자로 변경했을 때만큼이나 방문자수가 급격하게 줄어든답니다.
너무 지엽적인 것에 매달리지 말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블로그 잘하시는 분들은 아무것도 세팅하지 않고도 잘하더군요. 최고의 튜닝은 순정이라는 말을 다시 한번 실감하는 바입니다.
'Tistory Adsense 관련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글 발행 무제한 하는 방법 - 팀블로그 기능을 이용하기 (0) | 2021.04.08 |
---|---|
Html 주석달기 <!-- --> 주석이란 "설명" 이라는 뜻입니다. (0) | 2021.04.04 |
JB 스킨 167 적용법 사진으로 한컷에 정리 (4) | 2021.03.18 |
지식인 답변 사진넣어서 답변하는 방법 (0) | 2021.03.18 |
티스토리 방문자 늘리기 해서는 안될 행동 (0) | 2021.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