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story Adsense 관련글

ads.txt 란 무엇인지 비유를 들어서 쉽게 설명해보겠습니다

by randomsite 2023. 11. 25.
반응형

ads.txt 란 웹사이트나 앱의 "광고 허가증"과 같습니다. 웹사이트나 앱에서 광고를 판매하려면 해당 웹사이트나 앱의 광고 허가증을 받아야 합니다. 이 광고 허가증을 ads.txt 파일이라고 합니다. 애드센스에서 보면 "찾을 수 없음" "승인됨" 티스토리의 경우에는 "해당사항 없음" 이렇게 표시되어 있을 거예요.

 

반응형

 

찾을 수 없음 이란 보통 애드센스 자체가 승인되지 않아서 ads.txt 파일도 찾을 수 없는 경우이고요. 승인됨 이란, 사이트나 개인 워드프레스 블로그의 경우 ads.txt라는 플러그인을 설치해서, 애드센스 사이트에서 알려주는 코드를 ads.txt 플러그인에 붙여 넣기만 하면 아주아주 간단하게 며칠 내로 해결이 됩니다.

 

사진상에 보시면 아시겠지만 애드센스 승인이 나지 않은 사이트의 경우에는 ads.txt의 상태 또한 "찾을 수 없음" 상태로 되어있답니다.

ads.txt

마지막으로 티스토리의 경우에는 "해당사항 없음"이라고 나오는데, 이건 티스토리 내에서 자체적으로 구글로부터 광고허가증을 받았기 때문에 우리 같은 개인에겐 해당사항이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거예요.

 

광고주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광고를 구매할 때 이 광고 허가증을 확인하면 해당 웹사이트나 앱에서 광고를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거죠.. ads.txt를 통해 광고 사기가 방지되고, 광고주는 더 높은 품질의 광고를 구매할 수 있는 거죠.

 

app ads.txt 란 웹사이트나 앱의 공인인증서와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웹사이트나 앱에서 광고를 판매하려는 광고 네트워크는 해당 웹사이트나 앱의 인증서를 받아야 합니다. 이 인증서를 ads.txt 파일이라고 합니다.

 

광고주가 웹사이트나 앱에서 광고를 구매할 때 이 인증서를 확인하면 해당 광고 네트워크가 해당 웹사이트나 앱에서 광고를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광고 사기가 방지되고, 광고주는 더 높은 품질의 광고를 구매할 수 있다고 합니다만,

 

사실 이 정도만 들어도 뭔가 감이 잘 안 오실 텐데요, 그냥 이렇게 생각하시면 편해요. 명품백을 산다고 비유하면, 그 안에 보증서가 들어있고, 우린 그걸 그냥 믿고 구매하는 것처럼요. 만약 나중에 알고 봤더니 가품일 경우 그 보증서를 토대로 해서 따지는 것처럼, 광고비를 전액 또는 일부 회수한다거나 하는 책임을 묻기 위해서라도 필요한 것 같습니다.

 

특히 이상한 사이트에 애드센스 광고가 무턱대고 송출되도록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저런 장치가 필요한 거기도 하고요. 구글에서 판단했을때 아무리 ads.txt를 제출해도 못 믿을만한 사이트에는 발급을 안 할 테니까, 어느 정도 안전장치가 이루어지는 셈이기도 하고요.

 

우리가 은행의 공인인증서나, 자동차 엔진이 어떤 원리로 돌아가는지는 몰라도 그냥 대충 눈감고 코끼리 만지듯이 아는 것처럼 이 ads.txt도 여기까지만 알고 있어도, ads.txt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상위 0.01%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

 

구글 사이트키트 티스토리 워드프레스 구글 색인 빨리 되게 하기. site Kit

사이트키트(site kit)란 무엇일까. 티스토리랑 워드프레스등 구글 유입이 느려서 답답하신 분 계신가요? 저 또한 그렇습니다. 그럴 땐 사이트키트 플러그인을 워드프레스에 설치하면 간단히 끝난

randomsite.tistory.com

-

반응형